-
Periodic condition 설정하기 (+ boundary condition)BLUE Master | 돔황챠/COMSOL 2023. 8. 4. 17:08
오늘은 boundary가 주기성을 가지는 경우를 만들어보자!
ewfd의 설정에서 보면 [Periodic Condition]이 있다!
이걸 쓸 계획임!!
우선 가로 10 m 세로 8 m 직사각형을 만들어준다
다음 [Materials] 로 all 설정해주고
reflective index 값 입력 잊지 않기!
바로 [Perfectly Matched Layer] 에서 외부영역 선택하기!
이번 경우에는 양쪽 외곽으로 한다!
그리고 광원을 선택해준다
[Surface Current Density]를 왼쪽 초록색으로 선택해준다!
z 방향으로 1 A/m 로 함!
다음은 바로 오늘의 하이라이트
[Periodic Condition] 설정하기
periodic한 구간은 윗면과
아랫면(파란색으로 선택됨)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Mesh] 하고 [Compute]하면 끝!
ewfd.normE 과 ewfd.Ez 결과이다!
광원이 normal 하게 입사한 결과를 볼 수 있다!
그러면 같은 구조체에 광원을 oblique하게 넣어보자
sin(thet)항이 추가됐으니
parameter에서 thet도 추가한다!
20도로 넣어줬다!
다음 중요한것!
periodic condition setting을 바꿔주는데
[Periodicity Settings]에서
[Type of periodicity] 기본값으로
Continuity 되어있는걸
Floquet periodicity로 바꾼다!
거기에 필요한 k-vector는 k*sin(thet)로 넣는다!
이렇게 변경해주고 [Compute]해주면
광원이 oblique한걸 확인 할 수 있다!
다음은 서로다른 구조체 2개가 붙어있을때!!
출처 : 두산백과 즉, 우리가 흔히 굴절률에 대한
과학이론을 배울 때 구조를 만들어보자!
우선 가로 20 m 세로 15 m 직사각형을 만들고
중간에 선을 그어준다!
그리고 [Material]은 윗부분과 아랫부분 따로 만들어주고
위에는 굴절률을 1로
아래는 굴절률을 2로 했다!
그리고 PML (Perfectly Matched Layer) 은 위아래 끝으로 설정!
그리고
Surface Current Density는
파란선 부분에 oblique하게 넣어주고
Periodic condition은 양쪽옆으로
넣어준다!
parameter로 thet값도 지정하주면 끝!
freq unit Hz로 맞추고 Mesh 하면 아래처럼 나온다!
Study 에서 Compute해주면 아래처럼 결과가 나옴!
보면 매질 1과 2 사이 경계면에서
전기장의 굴절정도가 다른 것을 볼 수 있고
세기 또한 크게 차이난다!
그럼 오늘은 여기서 끝!
아직 갈 길이 머니 차근차근
정리해서 더 써야겠다!
728x90'BLUE Master | 돔황챠 > COMS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원 형태 변경하기 | Beam shape & focus , oblique (0) 2023.07.24 COMSOL 새 페이지 설정 & Geometry build (0) 2023.07.20